다국어 홈페이지 제작을 위한 워드프레스 WPML 플러그인

 

다국어 사이트를 위한 플러그인 WPML

우리 크리에이티브 웹 개발팀에서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를 워드프레스 기반으로 제작해드리고 있는 이유는 바로 반응형웹, 다국어 번역, SEO, 웹표준, 웹접근성을 완벽하게 구현시켜드리기 위해서이다.

일부 클라이언트들은 직접 워드프레스에 대한 스터디를 충분히 한 후 처음부터 워드프레스 기반의 홈페이지를 제작해달라고 의뢰하시는 경우도 있다.

아마도 스터디를 하면서 워드프레스가 가지고 있는 무한한 확장성과 유지관리 부분의 장점들을 충분히 인지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엔 워드프레스의 장점 중 하나인 다국어 사이트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한다.

워드프레스로 다국어 사이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WPML 또는 qtranslate 플러그인을 설치하여야 한다. WPML은 라이센스가 있는 유료플러그인이며 qtranslate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다.

 

wpml
 

(주)아임굿에서는 유료이지만 좀 더 사용이 편리하고 꾸준한 업데이트와 안정적인 고객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는 WPML 플러그인을 클라이언트의 다국어 홈페이지에 적용시키고 있다.

물론 qtranslate 플러그인도 업데이트가 잘 이루어지고 기능도 뛰어난 편이지만 WPML에 비해 확장성은 좀 떨어지는 편이다.

이번엔 WPML 플러그인의 설치방법과 초기 셋팅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보겠다.

 

WPML 플러그인 초기 세팅 방법

플러그인을 정상으로 설치하면 아래와 같이 플러그인 목록에 나타나는데 먼저 활성화를 시켜준다.

wpml-setting1

활성화가 되면 사이드메뉴 하단에 WPML이라는 링크가 하나 추가되고 여기를 클릭하면 WPML 초기 셋팅 화면이 출력된다.

wpml-setting2

기본 언어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진행하면 다국어 번역을 적용시킬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이 화면에서 사용할 언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적용 후에도 언제든지 사용 언어를 추가하거나 뺄 수 있다.

wpml-setting3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WPML 플러그인의 세부적인 옵션들을 설정을 하는 마지막 화면이 출력된다.

wpml-setting4

설정이 완료된 후에도 WPML 설정화면에서 모든 옵션들에 대해 변경이 가능하니 각 옵션들을 한번씩 적용시켜봐도 좋을 것이다.

다음에는 WPML의 언어별 페이지 관리 방법과 메뉴 및 위젯 적용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올리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