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를 이용한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제작 방법
테마 선정
홈페이지 구축을 위한 테마는 여러가지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우선 제작할 홈페이지의 컨셉에 맞아야 하며 테마에 탑재되어 있는 숏코드들은 홈페이지 구축시 필요한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제작하는데 용이하다. 물론 스타일만을 보고 테마를 선정한 후에 플러그인으로 그 테마의 부족한 기능들을 보완할수도 있지만 많은 플러그인 사용은 워드프레스 테마와 플러그인 사이에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많기 때문에 지나치게 많은 플러그인 탑재는 지양하여야 한다. 그리고, 워드프레스의 큰 강점 중 하나인 SEO에 탁월한 테마를 찾는 것도 중요한데 이는 플러그인으로도 충분히 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테마에 꼭 SEO 기능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도 된다.

The7 Theme
이번에 코코호도의 홈페이지 리뉴얼을 위해 선정한 The7 테마는 다양한 컨셉의 홈페이지 제작에 적합하며 페이지빌더나 관리자모드가 충실하게 갖추어져 있어 추천할 만한 테마이다. 물론 모든 테마가 그렇듯 완벽한 테마는 없다. 부족한 부분은 플러그인을 추가하거나 하드코딩을 통해 채워주어야 한다. 다만 홈페이지 스토리보드 작성시 필요한 기능이나 테마의 성격을 명확히 하여 그에 맞는 테마를 심사숙고하여 선택한다면 더 간편하게 원하는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다.

테마 레이아웃 선택
테마 선정이 끝나고 제작에 들어가긴 전 가장 먼저 홈페이지 레이아웃을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fullwidth 형태나 Box형태의 레이아웃이 있는데 이번 코코호도의 리뉴얼은 심플한 Box 형태의 레이아웃을 선택하였다. 물론 디자인에 따라 fullwidth 레이아웃도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겠지만 코코호도 스토리보드상 가장 적합한 레이아웃은 Box형이라고 판단하여 선택하게 되었다.

Landing Page 제작
홈페이지의 얼굴이라고 할수 있는 Landing 페이지 제작은 홈페이지 제작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유저가 처음 접속하는 페이지인 만큼 Landing 페이지에는 그 홈페이지의 기본 컨셉이나 보여주고자 하는 중심 요소들이 모두 녹아있어여 하며 유저가 처음 접했을때 Impressive한 인상을 줘 다음 페이지를 보고싶어할 만한 동기를 심어줘야 한다. 물론 필요에 의해 특정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 방문자들의 경우 웹페이지에 머무르는 시간은 1초 내외 정도이다. 홈페이지 제작자는 이 1초 내외의 시간동안 유저의 관심을 끌 수있는 컨텐츠로 Landing 페이지를 구성하여 더 많은 페이지들을 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는 것이다.
세부페이지 제작 및 플러그인 사용
일단 Landing 페이지 제작이 끝났다면 홈페이지의 기본적인 컨셉은 전부 잡혀 있다는 의미이다. 그후 제작하는 Sub 페이지 같은 경우 색감이나 구성이 Landing 페이지를 따라가기 때문에 전체적인 분위기를 잡기 쉬워진다.다만 Sub페이지에서는 여러가지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기능들을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PlugIn 사용이 중요하다. 무턱대고 아무 플러그인이나 마구 사용하면 플러그인이 가지고 있는 버그나 프로그램 끼리의 충돌이 일어나는 경우가 잦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이번에 제작한 홈페이지의 경우 기본 탑재되어 있는 PlugIn들 외에 SNS 기능을 위한 Facebook PlugIn 한개만을 추가 설치하여 제작했다. 추가적인 플러그인에 대한 글은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올려볼 예정이다.

홈페이지 제작 마무리 단계
사실 홈페이지 제작에 마무리 단계는 그 홈페이지의 Quality를 어느 정도 수준으로 만드느냐에 따라 다르다. 어떤 홈페이지도 완벽한 홈페이지란 없다. 수십억을 투자해 수십명의 전문가들이 만든 홈페이지도 완성후에 찾아보면 셀 수도 없이 많은 오류들이 있다. 수많은 브라우저에 대한 호환성, 브라우저의 버젼별 호환성, 스크립트 오류, 함수 충돌, 이미지 깨짐, 오타 등 세부적인 것까지 얼마나 신경을 써주냐에 따라 제작 기간이 엄청나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홈페이지 퀄리티를 어느정도 하느냐에 따라 10페이지 이내의 홈페이지 제작이 20페이지 이상되는 홈페이지 제작 기간보다 길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페이지 점검은 오타나 각 페이지별 기능 등을 둘러보며 문제가 될만한 요소들을 찾아 적절하게 페이지를 구성한 것인지 하나하나 점검하며 마무리를 하면 될 것이다.
